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요양원에 근무하려는 사회복지사가 알아야 할 것

사회복지사를 준비하시는 분들은 사회복지사의 업무와 처우, 연봉 등이 궁금하실 겁니다.사회복지사를 검색하시면 자격증 취득 광고 등에 올라온 글들을 보시게 됩니다. 다양한 분야에 사회복지사가 필요하고, 자격증 취득 후에 취직도 쉽게 될 거라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게 합니다.  평생직장이라는 사탕발림 같은 홍보성 글에 속으시면 안 됩니다. 현실은 냉혹합니다. 오늘은 제가  4곳의 요양원에 사회복지사로 근무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이므로, 지극히 주관적인 견해가 들어감을 알려드립니다. 사회복지사 업무사회복지사가 활동할 수 있는 영역은 넓습니다. 아동, 청소년, 장애인, 노인, 여성, 의료 등의 분야에서 활동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근무 가능한 기관은 요양원, 지역아동센터, 장애인 복지관, 요양병원, 사회복지재..

시작글들 2024. 6. 18. 16:27
사회복지사 1급과 2급 취득 방법은 다르다

다양한 사회 문화의 변화만큼 직업의 수도 빠르게 증가해서 2019년에 대한민국의 직업 수가 16,891개였다고 합니다.다양한 직업 수만큼 직업의 선택의 기회도 커지고 있지만, 자신에게 맞는 직업을 찾고 준비하는 것이 쉽지는 않습니다.특히 중장년층에게는 다양한 직업에서의 선택의 폭이 청년들보다 좁을 수밖에 없습니다. 중장년층이 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직업군이 사회복지분야로, 요양보호사나 사회복지사 자격증을 따고 취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생각보다 많습니다. 40대는 요양보호사와 사회복지사 자격증 둘 다 준비하시는 분들이 많고, 50대로 넘어가면 요양보호사 자격증을 준비하십니다. 오늘은 그중에서 사회복지사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사회복지사란자격증사전에 " 사회복지사란 사회복지에 관한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시작글들 2024. 6. 17. 15:56
요양원 입소 전, 장기요양인정서는 "시설급여"인지 확인하자!

저는 사회복지사 1급을 따고, 요양원 4곳에서 일했습니다. 근무하면서, 보고 느낀 점을 알려드리고, 보호자께서 놓치기 쉬운 요양원에 대한 정보를 말씀드리겠습니다. 요양병원과 요양원의 차이를 이전 글에 간략하게 알려드렸고, 오늘은 요양원 입소 시 확인하셔야 하지만, 놓치기 쉬운 장기요양인정서에 적혀 있는 '시설급여'에 대해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요양원에 입소를 하시는 어르신들은 신체적, 정신적으로 타인의 도움 없이는 생활하시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24시간 돌봄이 필요하신 곳에서 생활하셔야 하는 분들입니다.보호자가 준비해야 할 일그렇다면, 돌봄이 필요한 분들이 요양원에 입소하려면 보호자께서 미리 확인하시고 준비하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먼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장기요양보험 등급을 신청하셔야 합니다.(..

시작글들 2024. 6. 14. 20:59
요양원과 요양병원은 어떻게 다를까?

Molly는 여러 직업군에서 일했습니다.그중에서 당당하게 사회복지사 1급 시험에 합격하여, 4곳의 요양원에서 근무를 했답니다.제가 알고 경험했던(더 전문적인 분들이 많으시겠지만) 요양원 이야기를 쉽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오늘은 생각보다 많은 분들이 헷갈려하시는 요양원과 요양병원이 어떻게 다른지 말씀드리겠습니다.요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요양원에 전화를 주시는 보호자들 중에는 요양원과 요양병원이 같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요양'이라는 이름이 들어가서 그런 것 같습니다. 하지만 요양원과 요양병원은 같은 주연배우이지만, 손예진배우와 라미란배우 같은 느낌이라고 하면 이해가 되실 것 같습니다. 요양원과 요양병원의 교합점은 어르신을 모신다는 겁니다. 그리고 가장 큰 차이점은 의료행위가 가능한가 여부입니다.요양..

시작글들 2024. 6. 11. 11:01
이전 1 ··· 14 15 16 17 다음
이전 다음

티스토리툴바

이메일: tibet911@naver.com | 운영자 : Molly
제작 : 아로스
Copyrights © 2022 All Rights Reserved by (주)아백.

※ 해당 웹사이트는 정보 전달을 목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금융 상품 판매 및 중개의 목적이 아닌 정보만 전달합니다. 또한, 어떠한 지적재산권 또한 침해하지 않고 있음을 명시합니다. 조회, 신청 및 다운로드와 같은 편의 서비스에 관한 내용은 관련 처리기관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